조회 수 151 댓글 0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구례향교

求禮鄕校 Gurye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전하기에 현재 출장중에 시간을 내어 진행하고 있는 향교 탐방중 전라남도 지역의 향교를 몇군데 경유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다녀온 70여곳의 향교 중 전라남도 지역은 옥과향교 딱 한군데 뿐이었다.

남원에서 구례 순천 여수로 가는 국도 19호선 인근의 향교를 검색하여 곡성향교 - 구례향교 - 순천향교 - 여수향교 - 돌산향교를 경유하여 오동도와 여수 밤바다를 구경하고 돌아오는 코스를 택했다.

 

구례향교_2980.jpg

구례향교 홍살문과 하마비

 

구례향교_2981.jpg

구례향교 하마비

 

구례향교 하마비에는 과차개하마(過此皆下馬)라 쓰여 있고 흐면에는 건립일자가 새겨져 있다.

 

구례향교_2982.jpg

 

구례향교_2983.jpg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0호(1985년 2월 25일 지정)인 구례향교 외삼문 옆 안내문에는 구례향교(전교 김한섭)를 아래와 같이 소개하고 있다.

 

향교는 조선 시대에 지방관청에서 운영하던 공립 교육기관으로, 군단위의 향교는 50명이 정원이었으며 16세 이상의 양반 자제들이 공부했던 곳이다. 향교에 재학하는 동안에는 군역이 면제되었고, 소과에 합격하면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었다.
구례 향교는 원래 조선 중종 13년(1518년) 백련리 서북쪽에 지어졌었는데, 제사 때마다 호랑이가 나타나 피해를 입어 숙종 30년 (1704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향교 앞의 낮은 터에는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곳(강학 공간)이, 뒤쪽에는 어진 사람을 받드는 곳(존현 공간)이 자리 잡은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를 하고 있다. 강학 공간에는 외삼문과 명륜당, 동재와
서재가 있고, 존현 공간에는 내삼문과 대성전이 있다. 외삼문 앞에는 연못과 홍살문, 하마비(下馬碑) 등이 고루 갖추어져 있다.

 

구례향교_2984.jpg

구례향교 외삼문 정면 3칸, 측면 2칸의 솟을대문이다.
 

구례향교_2993_1.jpg

구례향교 명륜당

 

구례향교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자연석의 덤벙주초 위에 원기둥을 세웠다. 가구는 평5량으로 헛첨차모양의 우설과 초공을 가진 이익공양식이다. 지붕은 겹처마에 맞배지붕이며 풍판이 있다

 

구례향교_2993_2.jpg

 

구례향교 명륜당은 정면이 대성전을 마주하고 있다. 구례향교의 정문격인 외삼문을 들어서면 먼저 보이는 것이 명륜당의 뒤쪽 모습이다. 전학후묘의 배치일 경우 외삼문을 들어서면 대부분 명륜당과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위치하는데 구례향교처럼 대성전과 마주하고 있는 구조의 명륜당을 많이 볼 수 있다. 

 

구례향교_2993_3.jpg

구례향교 명륜당 뒤쪽

 

구례향교_2994.jpg

구례향교 동재

 

구례향교_2995.jpg

공사중인 구례향교 서재

 

구례향교 서재와 내삼문은 보수 공사중이었다. 공사시간은 2021년 8월부터 11월까지이다.

 

구례향교_2996.jpg

공사중인 구례향교 내삼문

 

구례향교_2997.jpg

 

구례향교_2998.jpg

구례향교 대성전

 

구례향교_3001.jpg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 2현(宋朝二賢) 및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구례향교_3002.jpg

 

구례향교_3003.jpg

대성전은 3칸의 맞배지붕이다.대성전 우측 건물은 배례각이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다듬돌 바른층쌓기한 석축 기단의 높이는 약 150cm이고 자연석의 덤벙주초 위에 민흘림이 약한 원기둥을 세웠다. 기단에 오르는 계단의 각석이 독특하게 ‘ㄴ’자형의 맞춤으로 다듬어져 있다. 가구(架構)는 2고주 5량으로, 공포는 주도에 두공담차를 얹었다. 기둥의 윗몸에서 헛첨차모양으로 살미가 나와 날카로운 우설을 이루고 촛가지 끝에는 연봉을 올렸다. 익공 위에 소루를 얹어서 외목도리의 행공담차를 받치고 있는 주심포계의 외 1출목 이익공식이다. 지붕은 겹처마에 맞배지붕이고 풍판이 있으며 양벽면의 가장자리를 보강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구례향교 [求禮鄕校] (두산백과)

 

구례향교_3004.jpg

 

구례향교_3033.jpg

강수당

 

소장하고 있는 전적은 99종 383책으로 유교의 경서와 그 해설책, 《일재집 一齋集》·《미암집 眉巖集》 등의 개인 문집, 필사본인 《완문절목 完文節目》·《향안 鄕案》·《유학안 幼學案》·《모성계안 慕聖契案》·《문중안 門中案》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유학안》은 각 면마다 작성된 유림명단으로 이 지방의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구례향교_3034.jpg

구레향교 홍살문 앞 250년 된 느티나무 1982년 12월 3일 보호수로 지정됐다.
 



  1.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북도 괴산 연풍향교

    연풍향교 延豊鄕校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향교로 40-2(행촌리)에 위치한 연풍향교는 1515년(중종 10) 괴산 연풍면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1981년 12월 26일 지정됐다. 2021년 11월 20일 방문했다. 연풍향교로 가는 길에 ...
    Date2021.12.28 Category충청북도 By운영자 Views179
    Read More
  2.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태안향교

    지난 주말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를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는데 하루 종일 비가 왔었는데 29일 태안에 취재차 들렸다가 오는 길에 태안향교와 해미향교를 들렸는데 이날도 가는 곳마다 비가 내린다. 그러나 비...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57
    Read More
  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산 해미향교

    태안향교 방문을 마치고 나오며 태안향교를 안내해 주신 윤경상 전교님께 인사를 드리니 포항으로 가는 길이면 고속도로를 이용해야하니 해미향교 바로 옆에 해미IC가 있으니 들려보라고 하신다. 태안향교에서 해미향교까지는 약 30km 정도로 40분정도 소요되...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95
    Read More
  4. 수원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수원

    수원향교 水原鄕校 수원향교 홍살문, 능이나 궁정, 관가 등의 입구에 세우는 붉은 칠한 문으로 둥근기둥 2개를 세우고 지붕없이 붉은살을 박았다. 향교의 홍살문 안에는 위대 하신 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곳이므로 홍살문을 지나가는 사람은 반드시 경건한...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225
    Read More
  5. 과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과천

    과천향교 果川鄕校 Gwacheon Hyanggyo 2021년 6월 9일 서울 출장길에 공주향교 - 천안향교 - 안성향교 - 수원향교를 거쳐 마지막으로 과천향교를 방문했다. 과천향교는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개방을 하고 있었고 명륜당에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다. 3...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6
    Read More
  6. 여주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여주

    [한국의 향교 경기도] 여주향교 驪州鄕校 여주 향교는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데 정확힌 시기는 알 수 없다. 앞쪽 낮은 곳에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 높은 곳에 제향을 지내는 대성전이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구조를 따르고 있...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5
    Read More
  7. 김제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김제향교

    김제향교 金堤鄕校 Gimjehyanggyo Confucian School 김제향교 만화루, 만화루는 2층 누각인 만화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향교 누각의 명칭을 보면 해당 향역에 있는 누각의 명칭들이 거의 동일하다. 전주향교, 김제 금구향교, 태인향교의 누...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48
    Read More
  8. 남원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남원향교

    남원향교 南原鄕校 Namwonhyanggyo confucian school 남원향교 진강루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에 위치한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71년 12월 2일 지정되었다. 진강루 우측에 있는 남원향교 츨입문인 ...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41
    Read More
  9.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任實鄕校 Imsilhyanggyo Confucian School 임실향교는 임실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서면 임실읍 일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당시의 위치...
    Date2021.12.18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57
    Read More
  10.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蔚山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울산향교 대성전 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 울산향교의 창건 연대나 초기 연혁은 임진왜란으로 기록이 멸실되어 정확히 알...
    Date2021.12.17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143
    Read More
  11.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順天鄕校 Suncheon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81
    Read More
  12.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구례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구례향교 求禮鄕校 Gurye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전...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51
    Read More
  1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천향교 舒川鄕校 Seocheonhyanggyo Confucian School 서천향교는 충청남도기념물 제130호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 (군사리)에 위치하고 있다.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 오후에 방문했다. 서천향교는 전학후...
    Date2021.12.15 Category충청남도 By임영식 Views127
    Read More
  14. 한국의 향교 탐방 강원도 삼척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강원도 삼척향교 三陟鄕校 Samcheok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강원도 삼척시 향교길 34(교동)에 위치한 삼척향교는 1985년 1월 17일 강원도 유형문화재를 지정되었다.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로 가며 경유했으나...
    Date2021.12.14 Category강원도 By임영식 Views103
    Read More
  15.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장성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장성향교 10월 11일 방문한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성산리에 있는 고려 말에 창건된 향교인 장성향교(長城鄕校)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1985년 2월 25일 지정)이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
    Date2021.12.14 Category전라남도 By임영식 Views65
    Read More
  16. 한국의 향교 탐방 광주광역시 광주향교 光州鄕校

    한국의 향교 탐방 광주광역시 광주향교 光州鄕校 10월의 황금같은 연휴가 이어진 두번째 대체공휴일의 마지막날인 11일 연이은 가을장마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 들리며 광주향교 - 창평향교 - 담양향교 - 장성향교를 경유했다. 광주향교 홍살문 광주향...
    Date2021.12.14 Category전라남도 By임영식 Views2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