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42 댓글 0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蔚山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LIM_8205.jpg

울산향교 대성전

 

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

울산향교의 창건 연대나 초기 연혁은 임진왜란으로 기록이 멸실되어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한 고을 한 향교(一邑一校) 체제가 완성된 15세기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창건 당시에는 신학성 북쪽인 현 반구동 구교(舊校)마을에 세워졌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후 그 곳에 다시 세워졌다가 1652년(효종 3)에 지금 장소로 옮겨 세웠다.

당시에는 대성전과 동서무와 동서재 등 향교의 핵심시설만 세워졌다가, 1711년(숙종 37)에 문루 5칸을 창건하여 작신루(作新樓)라고 편액하였다. 작신루는 1796년(정조 20)에 청원루(淸遠樓)로 바뀌어 오늘까지 전해져온다. 1800년 이후 26번 고쳤으나 배치의 기본 틀은 변함이 없이 유지되고 있다. 주요 건물들을 남북과 동서축으로 직각 교차하게 배치하여 전형적인 향교 건축의 특성을 살렸다. 각 건물도 전통 건축양식을 잘 보여 주며, 대성전은 정면과 측면이 모두 3칸인 홑처마 익공(翼工)양식의 맞배지붕이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홑처마 익공양식의 팔작지붕이며, 정문인 청원루(淸遠樓)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익공 양식의 팔작지붕 형식을 하고 있다.

 

20210530_104136.jpg

울산향교 청원루,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익공 양식의 팔작지붕 형식을 하고 있다.


LIM_8175.jpg

입문(入門)

 

LIM_8190.jpg

울산향교 명륜당에서 바라본 청원루

 

20210530_104225.jpg

 

청원루를 들어서면 정면에 명륜당 좌우로 동재와 서재가 배치되어 있다.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 방식이다. 
 

20210530_104554.jpg

 

 

LIM_8176.jpg

 

울산향교 명륜당 - 명륜당(明倫堂)은 향교 유생(儒生)들이 수업하던 강당이다
 

LIM_8179.jpg  LIM_8180.jpg

 

명륜당의 동재와 서재, 이곳은 유생들이 숙식(宿食)하던 요즘의 기숙사와 같은 곳이다.
 

LIM_8182.jpg

울산향교 명륜당

 

LIM_8185.jpg

 

LIM_8187.jpg

 

LIM_8188.jpg

 

LIM_8189.jpg

 

LIM_8194.jpg

울산향교 내삼문

 

LIM_8196.jpg

울산향교 전사청, 제기 등을 보관하는 곳이다.

 

LIM_8197.jpg

울산향교 내삼문 신삼문(神三門)이러고 한다. 북이 걸려있는 것이 다른 향교와 비교된다.
 

LIM_8200.jpg

울산향교 대성전, 좌우측에 동무와 서무가 있다.

 

대성전(大成殿)은 공자(孔子)의 위패를 모신 전각(殿閣)으로 배향위(配章位)에 4성(四聖, 안자,증자,자사,맹자),동서종향우(東西從韋位)에 송조2현(宋朝그賢)인 정명도선생(程明道先生),주회암선생(朱梅底先生)과 우리나라 18현인 신라조 2현(新羅朝 二賢),고려조 2현(高麗朝 二賢), 조선조14현(朝鮮朝 十四賢)을 모시고 있다.

 

LIM_8202.jpg

 

대성전 동편 건물을 동무(東座),서편 건물을 서무(西座)라 하는데 광복 전까지는 우리나라18현을 모시다 광복 후에는 대성전 종향위(從韋位)에 올려 보심에 따라 지금은 비어있다.
 

LIM_8203.jpg

 

LIM_8205.jpg

 

LIM_8207.jpg

 

LIM_8208.jpg

 

 

LIM_8209.jpg

 

명륜당 편액

 



  1.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북도 괴산 연풍향교

    연풍향교 延豊鄕校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향교로 40-2(행촌리)에 위치한 연풍향교는 1515년(중종 10) 괴산 연풍면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1981년 12월 26일 지정됐다. 2021년 11월 20일 방문했다. 연풍향교로 가는 길에 ...
    Date2021.12.28 Category충청북도 By운영자 Views173
    Read More
  2.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태안향교

    지난 주말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를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는데 하루 종일 비가 왔었는데 29일 태안에 취재차 들렸다가 오는 길에 태안향교와 해미향교를 들렸는데 이날도 가는 곳마다 비가 내린다. 그러나 비...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54
    Read More
  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산 해미향교

    태안향교 방문을 마치고 나오며 태안향교를 안내해 주신 윤경상 전교님께 인사를 드리니 포항으로 가는 길이면 고속도로를 이용해야하니 해미향교 바로 옆에 해미IC가 있으니 들려보라고 하신다. 태안향교에서 해미향교까지는 약 30km 정도로 40분정도 소요되...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90
    Read More
  4. 수원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수원

    수원향교 水原鄕校 수원향교 홍살문, 능이나 궁정, 관가 등의 입구에 세우는 붉은 칠한 문으로 둥근기둥 2개를 세우고 지붕없이 붉은살을 박았다. 향교의 홍살문 안에는 위대 하신 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곳이므로 홍살문을 지나가는 사람은 반드시 경건한...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219
    Read More
  5. 과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과천

    과천향교 果川鄕校 Gwacheon Hyanggyo 2021년 6월 9일 서울 출장길에 공주향교 - 천안향교 - 안성향교 - 수원향교를 거쳐 마지막으로 과천향교를 방문했다. 과천향교는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개방을 하고 있었고 명륜당에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다. 3...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2
    Read More
  6. 여주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여주

    [한국의 향교 경기도] 여주향교 驪州鄕校 여주 향교는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데 정확힌 시기는 알 수 없다. 앞쪽 낮은 곳에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 높은 곳에 제향을 지내는 대성전이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구조를 따르고 있...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2
    Read More
  7. 김제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김제향교

    김제향교 金堤鄕校 Gimjehyanggyo Confucian School 김제향교 만화루, 만화루는 2층 누각인 만화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향교 누각의 명칭을 보면 해당 향역에 있는 누각의 명칭들이 거의 동일하다. 전주향교, 김제 금구향교, 태인향교의 누...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45
    Read More
  8. 남원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남원향교

    남원향교 南原鄕校 Namwonhyanggyo confucian school 남원향교 진강루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에 위치한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71년 12월 2일 지정되었다. 진강루 우측에 있는 남원향교 츨입문인 ...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37
    Read More
  9.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任實鄕校 Imsilhyanggyo Confucian School 임실향교는 임실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서면 임실읍 일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당시의 위치...
    Date2021.12.18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52
    Read More
  10.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蔚山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울산향교 대성전 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 울산향교의 창건 연대나 초기 연혁은 임진왜란으로 기록이 멸실되어 정확히 알...
    Date2021.12.17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142
    Read More
  11.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順天鄕校 Suncheon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81
    Read More
  12.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구례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구례향교 求禮鄕校 Gurye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전...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50
    Read More
  1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천향교 舒川鄕校 Seocheonhyanggyo Confucian School 서천향교는 충청남도기념물 제130호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 (군사리)에 위치하고 있다.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 오후에 방문했다. 서천향교는 전학후...
    Date2021.12.15 Category충청남도 By임영식 Views127
    Read More
  14. 한국의 향교 탐방 강원도 삼척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강원도 삼척향교 三陟鄕校 Samcheok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강원도 삼척시 향교길 34(교동)에 위치한 삼척향교는 1985년 1월 17일 강원도 유형문화재를 지정되었다.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로 가며 경유했으나...
    Date2021.12.14 Category강원도 By임영식 Views103
    Read More
  15.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장성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장성향교 10월 11일 방문한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성산리에 있는 고려 말에 창건된 향교인 장성향교(長城鄕校)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1985년 2월 25일 지정)이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
    Date2021.12.14 Category전라남도 By임영식 Views65
    Read More
  16. 한국의 향교 탐방 광주광역시 광주향교 光州鄕校

    한국의 향교 탐방 광주광역시 광주향교 光州鄕校 10월의 황금같은 연휴가 이어진 두번째 대체공휴일의 마지막날인 11일 연이은 가을장마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 들리며 광주향교 - 창평향교 - 담양향교 - 장성향교를 경유했다. 광주향교 홍살문 광주향...
    Date2021.12.14 Category전라남도 By임영식 Views2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