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5 댓글 0

[한국의 향교 경기도] 여주향교 驪州鄕校

 

여주 향교는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데 정확힌 시기는 알 수 없다. 앞쪽 낮은 곳에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 높은 곳에 제향을 지내는 대성전이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그 규모는 크지 않다. 향교의 부속 재료 형태와 모양새가 지역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향교이다. 2021년 6월 9일 오후에 방문했다.

 

20210609_173409.jpg

여주향교 외삼문

 

LIM_9395.jpg

여주향교 명륜당

 

LYS_1820.jpg

 

명륜당 전면 편액 후면에 걸려 있는 편액의 서체는 다르게 걸려 있다. 

 

LIM_9399.jpg

여주향교 명륜당 뒤쪽 모습

 

 

LIM_9414.jpg

 

LIM_9415.jpg

 

LIM_9416.jpg

 

여주향교 명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八(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 동재와 서재가 명륜당 좌의 뒤쪽에 붙어 있는 형태로 지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LIM_9396.jpg

여주향교 내삼문

 

LIM_9397.jpg

 

 

여주향교는 원래는 고려 때 여주읍 상리 마암 근처에 건립하였다가 임진왜란 때 타버린 후, 1685년(숙종 11) 여주읍 홍문리의 잣나무고개에 재건립하였는데 이때부터 부락에 자주 괴질이 발생하고 풍수학적으로 불길하다 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기 위하여 한 유생이 편지를 써서 바람에 날리니 현재의 위치에 날아와 떨어져 이곳으로 이전하게 되었다고 한다.

 

 

LIM_9401.jpg

여주향교 대성전

 

LIM_9402.jpg

 

여주향교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으로 되어 있으며 공포가 익공( 첨차(植適) 위에 소로와 함께 얹는, 짧게 아로새긴 나무) 양식으로 되어 있어 단아하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人(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대성전에는 5성 10철, 송의 6현과 한국의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좌우에 동무와 서무가 배치되어 있다.

 

LIM_9405.jpg

여주향교 향나무

 

 

보호수로 지정된 여주향교 서무 앞의 나무는 보호수 지정 당시 수령이 150년된 향나무이다. 수고는 8미터, 가슴높이나무둘레는 30㎝ 이다.

 

LIM_9406.jpg

 

 

LIM_9409.jpg

 

LIM_9412.jpg

 

 

향교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국가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해 지방에 설립한 교육 기관이다. 여기에 공자를 비롯해 정몽주 • 이황 • 이이 등 중국과 우리나라의 유현을 모시는 제향 기능도 겸했다.향교는 제향 공간과 교육을 위한 강학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다.

여주 향교는 고려 말 이곡이 여러 곳에 향교를 세우면서 상동 마암 근처에 세웠다가 임진왜란 때에 불타 없어졌다고 한다. 숙종 11년(1685)에 홍문의 잣나무 고개 부근에 다시 지었으나 그 이후 공교롭게도 마을 주민들이 자주 질병을 앓게 되자 풍수지리를 따져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1918년,1976년, 1980년,1985년에 고쳐 지었다.

Hyanggyo were local Confucian schools establishe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n major towns outside the capital city to provide students with a Confucian education. These institutions also served as shrines where seasonal memorial ceremonies and rites were held to honor Confucius and other great Confucian thinkers of China and Korea including Jeong Mong-ju, Yi Hwang and Yi I, Accordingly, the precincts of these schools were generally divided into two separate areas, one for the shrine and the other for the school.

According to local records, 化ojuhyanggyo was originally established at a site around Maam in Sang-dong in Yeoju by Yi Gok (1298-1351), a renowned Neo-Confacian scholar-official of late Goryeo, only to be burnt down (l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chool was reestablished in 1685 with the school building located in the vicinity of jannamu Pass in Hongmun, but it was soon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ngsu (or Feng Shui) belief that the frequent outbreaks of disease among the villagers was related with the schools site. The school underwent major repairs in 1918,1976,1980 and 1985.

The school consists of a main lecture hall,Myeongnyundang, at the front and a shrine hall, Daeseongjeon, at the rear, which is located higher than the front. The shrine hall is a delightfully simple three-kan by three-kan structure with wing-like brackets under the eaves, while the lecture hall is a five-kan by two-kan building. The school also hns two dormitories, Dongmu nnd Seomu,and Naesammun. The layout ot Yeo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reflects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 although some details show characteristic local elements.



  1.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북도 괴산 연풍향교

    연풍향교 延豊鄕校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향교로 40-2(행촌리)에 위치한 연풍향교는 1515년(중종 10) 괴산 연풍면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1981년 12월 26일 지정됐다. 2021년 11월 20일 방문했다. 연풍향교로 가는 길에 ...
    Date2021.12.28 Category충청북도 By운영자 Views179
    Read More
  2.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태안향교

    지난 주말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를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는데 하루 종일 비가 왔었는데 29일 태안에 취재차 들렸다가 오는 길에 태안향교와 해미향교를 들렸는데 이날도 가는 곳마다 비가 내린다. 그러나 비...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57
    Read More
  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산 해미향교

    태안향교 방문을 마치고 나오며 태안향교를 안내해 주신 윤경상 전교님께 인사를 드리니 포항으로 가는 길이면 고속도로를 이용해야하니 해미향교 바로 옆에 해미IC가 있으니 들려보라고 하신다. 태안향교에서 해미향교까지는 약 30km 정도로 40분정도 소요되...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95
    Read More
  4. 수원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수원

    수원향교 水原鄕校 수원향교 홍살문, 능이나 궁정, 관가 등의 입구에 세우는 붉은 칠한 문으로 둥근기둥 2개를 세우고 지붕없이 붉은살을 박았다. 향교의 홍살문 안에는 위대 하신 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곳이므로 홍살문을 지나가는 사람은 반드시 경건한...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225
    Read More
  5. 과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과천

    과천향교 果川鄕校 Gwacheon Hyanggyo 2021년 6월 9일 서울 출장길에 공주향교 - 천안향교 - 안성향교 - 수원향교를 거쳐 마지막으로 과천향교를 방문했다. 과천향교는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개방을 하고 있었고 명륜당에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다. 3...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6
    Read More
  6. 여주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여주

    [한국의 향교 경기도] 여주향교 驪州鄕校 여주 향교는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데 정확힌 시기는 알 수 없다. 앞쪽 낮은 곳에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 높은 곳에 제향을 지내는 대성전이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구조를 따르고 있...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5
    Read More
  7. 김제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김제향교

    김제향교 金堤鄕校 Gimjehyanggyo Confucian School 김제향교 만화루, 만화루는 2층 누각인 만화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향교 누각의 명칭을 보면 해당 향역에 있는 누각의 명칭들이 거의 동일하다. 전주향교, 김제 금구향교, 태인향교의 누...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48
    Read More
  8. 남원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남원향교

    남원향교 南原鄕校 Namwonhyanggyo confucian school 남원향교 진강루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에 위치한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71년 12월 2일 지정되었다. 진강루 우측에 있는 남원향교 츨입문인 ...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41
    Read More
  9.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任實鄕校 Imsilhyanggyo Confucian School 임실향교는 임실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서면 임실읍 일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당시의 위치...
    Date2021.12.18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57
    Read More
  10.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蔚山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울산향교 대성전 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 울산향교의 창건 연대나 초기 연혁은 임진왜란으로 기록이 멸실되어 정확히 알...
    Date2021.12.17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143
    Read More
  11.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順天鄕校 Suncheon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81
    Read More
  12.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구례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구례향교 求禮鄕校 Gurye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전...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51
    Read More
  1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천향교 舒川鄕校 Seocheonhyanggyo Confucian School 서천향교는 충청남도기념물 제130호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 (군사리)에 위치하고 있다.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 오후에 방문했다. 서천향교는 전학후...
    Date2021.12.15 Category충청남도 By임영식 Views127
    Read More
  14. 한국의 향교 탐방 강원도 삼척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강원도 삼척향교 三陟鄕校 Samcheok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강원도 삼척시 향교길 34(교동)에 위치한 삼척향교는 1985년 1월 17일 강원도 유형문화재를 지정되었다.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로 가며 경유했으나...
    Date2021.12.14 Category강원도 By임영식 Views103
    Read More
  15.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장성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장성향교 10월 11일 방문한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성산리에 있는 고려 말에 창건된 향교인 장성향교(長城鄕校)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1985년 2월 25일 지정)이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
    Date2021.12.14 Category전라남도 By임영식 Views65
    Read More
  16. 한국의 향교 탐방 광주광역시 광주향교 光州鄕校

    한국의 향교 탐방 광주광역시 광주향교 光州鄕校 10월의 황금같은 연휴가 이어진 두번째 대체공휴일의 마지막날인 11일 연이은 가을장마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 들리며 광주향교 - 창평향교 - 담양향교 - 장성향교를 경유했다. 광주향교 홍살문 광주향...
    Date2021.12.14 Category전라남도 By임영식 Views2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