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7 댓글 0

지난 주말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를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는데 하루 종일 비가 왔었는데 29일 태안에 취재차 들렸다가 오는 길에 태안향교와 해미향교를 들렸는데 이날도 가는 곳마다 비가 내린다. 그러나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한국의 향교 탐방은 계속 된다.

2021년 9월 29일 방문했다.

 

태안향교 泰安鄕校


태안향교_1.jpg

태안향교 홍실문

 

태안향교(충청남도 기념물 제139호)는 문이 닫혀 있었으나 유림회관에 들려보니 명륜서실에서 서예교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태안향교의 명륜서실의 이성선 장의가 2019년 성균관서예대전에서 한글부분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고 한다. 윤경상 전교님께서 향교를 안내를 해주셨다.

 

태안향교_2.jpg

태안향교 외삼문
 

 

태안향교는 태안 지방의 교육을 담당하던 조선시대 교육기관이다. 향교는 고려 때부터 지방에 세운 교육기관으로 조선 시대에는 전국의 모든 고을에 세워졌다. 향교를 통해 유교를 알리고 인재를 길러야 했으므로 나라에서 향교에 땅과 노비, 책 등을 주었고, 고을의 수령이 정성껏 관리하였다. 태안향교는 공자 등 중국과 우리나라의 유학자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던 명륜당, 학생들이 거주하는 동재 • 서재로 이루어져 있다.태안향교가 언제 세워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조선 초까지만 해도 ‘몇 칸의 초가집’ 이 전부였을 만큼 어려운 형편이었다. 그러다가 1407년(태종7) 사양동에 사당을 새로 세웠다. 그 후 향교 자리에서 뱀과 호랑이가 나타나 현 태안중학교 자리로 옮겼는데 화재로 불타 버리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 향교의 대들보 상량문을 보면 1720년(숙종46)에 건물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향교에서는 유교 경전과 역사를 배우고 글쓰기도 익혔다. 천민만 아니면 누구나 교육을 받을 수 있었지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양반이 독차지했고, 태안향교의 학생 정원은 30명에서 점차 늘어 50 명까지 되었다.향교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에 석전대제라는 큰 제례를 올린다. 태안향교는 제례와 함께 유림의 날 행사를 진행하여 유교의 전통을 지켜나가고 있다.
태안향교 안내문

 

태안향교_3.jpg

 

태안향교는 교육공간인 명륜당을 앞에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두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지어져 있다.
 

태안향교_4.jpg

 

태안향교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태안향교_4_1.jpg

 

태안향교_4_2.jpg

 

태안향교_5.jpg

태안향교 서재

 

태안향교_6.jpg

태안향교 서재

 

태안향교_6_1.jpg

태안향교 서재

 

태안향교_7.jpg

명륜당과 서재사이로 보이는 건물은 제기고이다.

 

태안향교_8.jpg

태안향교 내삼문

 

태안향교_8_1.jpg

태안향교 내삼문

 

태안향교_9.jpg

태안향교 대성전

 

태안향교_10.jpg

대성전 좌우측에 있던 동무와 서무는 남아 있지 않다.

 

태안향교_11.jpg

 

태안향교_12.jpg

 

태안향교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태안향교_13.jpg

 

태안향교_14.jpg

 

태안향교_16.jpg

 

태안향교_17.jpg

 

태안향교_17_1.jpg

 

태안향교_18.jpg

 

태안향교_19.jpg

 

태안향교_20.jpg

 

태안향교_21.jpg

 

태안향교_22.jpg

 

태안향교_23.jpg

태안향교 보호수 361호 은행나무(사진 우측)



  1.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북도 괴산 연풍향교

    연풍향교 延豊鄕校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향교로 40-2(행촌리)에 위치한 연풍향교는 1515년(중종 10) 괴산 연풍면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1981년 12월 26일 지정됐다. 2021년 11월 20일 방문했다. 연풍향교로 가는 길에 ...
    Date2021.12.28 Category충청북도 By운영자 Views179
    Read More
  2.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태안향교

    지난 주말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를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는데 하루 종일 비가 왔었는데 29일 태안에 취재차 들렸다가 오는 길에 태안향교와 해미향교를 들렸는데 이날도 가는 곳마다 비가 내린다. 그러나 비...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57
    Read More
  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산 해미향교

    태안향교 방문을 마치고 나오며 태안향교를 안내해 주신 윤경상 전교님께 인사를 드리니 포항으로 가는 길이면 고속도로를 이용해야하니 해미향교 바로 옆에 해미IC가 있으니 들려보라고 하신다. 태안향교에서 해미향교까지는 약 30km 정도로 40분정도 소요되...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95
    Read More
  4. 수원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수원

    수원향교 水原鄕校 수원향교 홍살문, 능이나 궁정, 관가 등의 입구에 세우는 붉은 칠한 문으로 둥근기둥 2개를 세우고 지붕없이 붉은살을 박았다. 향교의 홍살문 안에는 위대 하신 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곳이므로 홍살문을 지나가는 사람은 반드시 경건한...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225
    Read More
  5. 과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과천

    과천향교 果川鄕校 Gwacheon Hyanggyo 2021년 6월 9일 서울 출장길에 공주향교 - 천안향교 - 안성향교 - 수원향교를 거쳐 마지막으로 과천향교를 방문했다. 과천향교는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개방을 하고 있었고 명륜당에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다. 3...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6
    Read More
  6. 여주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여주

    [한국의 향교 경기도] 여주향교 驪州鄕校 여주 향교는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데 정확힌 시기는 알 수 없다. 앞쪽 낮은 곳에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 높은 곳에 제향을 지내는 대성전이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구조를 따르고 있...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5
    Read More
  7. 김제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김제향교

    김제향교 金堤鄕校 Gimjehyanggyo Confucian School 김제향교 만화루, 만화루는 2층 누각인 만화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향교 누각의 명칭을 보면 해당 향역에 있는 누각의 명칭들이 거의 동일하다. 전주향교, 김제 금구향교, 태인향교의 누...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48
    Read More
  8. 남원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남원향교

    남원향교 南原鄕校 Namwonhyanggyo confucian school 남원향교 진강루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에 위치한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71년 12월 2일 지정되었다. 진강루 우측에 있는 남원향교 츨입문인 ...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41
    Read More
  9.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任實鄕校 Imsilhyanggyo Confucian School 임실향교는 임실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서면 임실읍 일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당시의 위치...
    Date2021.12.18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57
    Read More
  10.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蔚山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울산향교 대성전 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 울산향교의 창건 연대나 초기 연혁은 임진왜란으로 기록이 멸실되어 정확히 알...
    Date2021.12.17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143
    Read More
  11.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順天鄕校 Suncheon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81
    Read More
  12.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구례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구례향교 求禮鄕校 Gurye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전...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51
    Read More
  1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천향교 舒川鄕校 Seocheonhyanggyo Confucian School 서천향교는 충청남도기념물 제130호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 (군사리)에 위치하고 있다.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 오후에 방문했다. 서천향교는 전학후...
    Date2021.12.15 Category충청남도 By임영식 Views127
    Read More
  14. 한국의 향교 탐방 강원도 삼척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강원도 삼척향교 三陟鄕校 Samcheok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강원도 삼척시 향교길 34(교동)에 위치한 삼척향교는 1985년 1월 17일 강원도 유형문화재를 지정되었다.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로 가며 경유했으나...
    Date2021.12.14 Category강원도 By임영식 Views103
    Read More
  15.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장성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장성향교 10월 11일 방문한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성산리에 있는 고려 말에 창건된 향교인 장성향교(長城鄕校)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1985년 2월 25일 지정)이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
    Date2021.12.14 Category전라남도 By임영식 Views65
    Read More
  16. 한국의 향교 탐방 광주광역시 광주향교 光州鄕校

    한국의 향교 탐방 광주광역시 광주향교 光州鄕校 10월의 황금같은 연휴가 이어진 두번째 대체공휴일의 마지막날인 11일 연이은 가을장마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 들리며 광주향교 - 창평향교 - 담양향교 - 장성향교를 경유했다. 광주향교 홍살문 광주향...
    Date2021.12.14 Category전라남도 By임영식 Views2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